본문 바로가기

채권투자2

미국 국채 수급상황으로 본 미국국채 투자 전략 출처=마경환의 생각하는 투자 현재 미국 국채 수급상황 - 국채 발행물량 지속적 증가 예상(국채 공급 측면) - 금년도 만기 채권 규모 전체 GDP의 30% 정도 => 최소한 이만큼은 신규 발행 예상 - 금년 재정적자 만큼 국채 발행 필요: $1.4조 (향후 10년간 GDP의 5% 재정적자 예상) - 미국 연준의 QT(긴축)에 따른 국채 공급물량: 시장에 있는 유동성 흡수 위한 국채 매도 물량 미 국채 보매수주체별 보유 상황 - 미 국채 외국인 보유 규모: 중립/감소 추세 - 미 국채 보유 국: 일본, 중국이 가장 많음, 중국은 보유 물량 매도추세, 반면 일본은 유지/ 매수 추세 - 연준이 가장 큰폭으로 매도 중이며, 미국 개인/펀드투자자들이 매수 중 - 외국인은 중립 가까운 상황 -연준 금리인상에 따라 .. 2024. 2. 27.
채권투자 총정리 출처=마경환의 생각하는 투자 1. 채권섹터 투자전략 채권의 구분 - 신용등급으로 구분(AAA, AA, A, BBB, BB,B) - 투자 적격채권(IG): AAA~BBB - 국채 - 준정부채(공채) - 우량회사채 - HY(고수익채) - EMB(emerging market) - 우리나라가 달러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은 글로벌 투자자관점에서는 기본통화를 하는 사람들에게 차입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국채 VS한국국채 중에는 한국국채가 더 위험하니까 (국가 신용등급 때문에) 위험프리미엄이 붙어서 발행됨. - 신용등급이 높은 건 경제가 나빠지기 직전에 좋다 : 경제 무너짐 ->부동산 무너짐 -> 주식 무너짐 -> 사업 무너짐 : 안전한 곳에 넣어야 함->국채 선호->채권가격 상승 "선호가 커질 자산에 미.. 2024. 2. 26.